[신병훈련소] 9일차 과제 : 시각적 분석 베스트 프랙티스 적용
[원본 대시보드]
위 대시보드의 각 시트는 각각 아래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① 각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는 얼마나 되는가? 어느 나라가 더 많은가?
② 각 지역(대륙)별 확진자 분포는 어떠하며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③ 각 국가별로 확진자는 증가세인가 감소세인가?
[수정한 대시보드]
9일차 과제
[Day9]
quip.com
- 확진자 순위’ 및 ‘사망자 순위’ 시트 개선하기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비교하기 위한 목적에 맞는 차트가 작성되어 있나요?
현재 표시된 차트는 오히려 국가별 비중을 보기에 좋은 차트인 것 같은데, 전세계 모든 국가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비중은 의미가 없습니다.
단계1. 적용할 기법 : 비교 및 순위 지정 (백서 8페이지)
순서대로 나열하고 값을 비교하기 좋은 차트는 막대 차트이니 거기에 맞게 수정해 봅니다.
Hint! ‘국가별 발생 건수’ 시트가 이미 만들어져 있으니 이것으로 대체하면 되겠네요.
추가로 아래 기법도 적용해 봅시다.
단계2. 적용할 기법 : 알아보기 쉽도록 뷰 방향 조정 (16페이지)
국가의 수가 적지 않으며 표시 공간의 가로폭이 좁기 때문에 세로 막대보다는 가로 막대로 표현하는 것이 보기 쉽습니다.
Hint! 툴바에 있는 ‘행과 열 바꾸기’ 버튼을 사용해 보셨나요?
단계3. 적용할 기법 : 뷰 구성 (17 페이지)
가로 막대로 바꾼 상태에서 국가별 확진자와 사망자를 위 아래에 나란히 놓는 것은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백서에서 적용한 방법을 거꾸로 사용하여 두 측정값이 좌우에 표시되게 바꾸는 것이 좋겠습니다.
단계4. 적용할 기법 : 지능형 축을 만들지 않으면 그냥 예쁜 직사각형만 남음 (36페이지)
Deaths 막대가 Confirmed 막대 대비하여 너무 작아서 잘 식별되지 않으므로 ‘각 행 또는 열에 독립적인 축 범위’를 지정하여 잘 구분되게 만듭니다.
Hint! 축 범위 옵션을 지정하려면 해당 축에 더블클릭하거나 우클릭 후 ‘축 편집’을 선택합니다.
3. ‘지역별 분포’ 시트 개선하기
각 지역(대륙)별 확진자 분포와 특징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맞는 차트가 작성되어 있나요?
국가 이름을 색상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을까요? 아니라면 색상에는 무엇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Hint! 치명율(Case fatality rate)을 뜻하는 CFR 필드를 색상에 사용하면 어떨까요?
4. ‘일자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 시트 개선하기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가 증가세인지 감소세인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맞는 차트가 작성되어 있나요?
아래 기법들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단계1. 적용할 기법 : 시간의 경과에 따른 트렌드 (7페이지)
영역 차트는 개별 국가의 숫자보다는 전체 합의 트렌드가 강조되는 차트 유형입니다.
마크 유형을 영역에서 라인으로 변경해 봅시다.
마크 유형을 바꾸면 차트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관찰해 봅시다.
단계2. 적용할 기법 : ‘단일 뷰의 색상 및 모양 개수 제한 (19페이지)
모든 국가별 색상이 지정되어 있어 식별이 되지 않다 보니 색상에 큰 의미가 부여되지 않습니다.
관심 있는 몇 개 국가에만 색상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어떨까요?
이때 모든 국가별에 대한 선은 모두 표시하되, 기타 국가들은 회색으로 표시되게 합시다.
단계3. 적용할 기법 : 공간이 부족하여 압축된 뷰 (31페이지)
차트 안에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 있어서 표시할 공간이 부족합니다.
대시보드 안에서 이리 저리 배치를 조정해서 제대로 표시되게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어려워 보이네요.
3일차에 배웠던 매개 변수를 사용해서 Total Cases와 New Cases 측정값을 전환해 가며 볼 수 있게 만들어 봅시다.
Hint! ‘Select Metric’ 매개 변수와 ‘Metric Switcher’ 필드가 이미 작성되어 있으므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계4. 적용할 기법 : 지능형 축을 만들지 않으면 그냥 예쁜 직사각형만 남음 (36페이지)
막대 차트에서 했던 것처럼 ‘각 행 또는 열에 독립적인 축 범위’를 지정하여 ‘Deaths’ 라인이 잘 보이게 만듭니다.
단계5. 적용할 기법 : 모든 적합한 위치에 비주얼리제이션 레이블 지정 (37페이지)
모든 레이블이 다 표시되어 복잡해 보인다면 각 라인의 마지막 점에 대해서만 레이블을 표시해 보면 어떨까요?
5. 대시보드 개선하기
개별 시트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대시보드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은 기법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단계1. 적용할 기법 : 일반 지침 (22페이지)
사용성을 고려한 시트 배치가 잘 되어 있는지 체크해 봅니다.
단계2. 적용할 기법 : 필터 (25페이지)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봅니다.
단계3. 적용할 기법 : 강조 표시 (24페이지)
위에서 막대 차트와 지도 간에 필터가 걸리지 않게 했는데요. 그 대신에 선택한 국가를 다른 시트에서 하이라이트시켜 주면 어떨까요?
단계4. 적용할 기법 : 스토리를 보여주는 툴팁 (35페이지)
기본 툴팁을 사용해도 좋지만 약간만 손을 보면 더 쓸모있고 압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