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티클 애널리스트 마지막 주차! 4주차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티클 앱 이용의 고객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적합할까 고민하다가
앱 리뷰 데이터가 가장 이용자들의 후기를 잘 나타낼 것 같아서
playstore의 티클 앱 리뷰를 사용했습니다!
playsotre 앱 리뷰 크롤링은 1주차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참고해 주세요 :)
[티클 애널리스트] 워드클라우드를 통한 핀테크 앱 '티클' 만의 포지셔닝 전략 분석
2020.08~2020.09.26 까지 '티클리안 2기 & 티클 애널리스트 서포터즈'로 활동하며 만들었던 결과물을 티스토리에 다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티클 애널리스트 1주 차 활동 주제가 발표되었어요!!
bigdata-ha.tistory.com
1. Topic Modeling 과정
앱 리뷰 데이터는 read_csv로 파일을 불러와 df에 저장했습니다.
df의 내용 부분만 뽑아냈습니다.
Hannanum을 사용했고, stopwords로 불필요한 단어 제거 후
명사만 뽑았습니다.
한 글자 이상의 명사만 추출하여 noun에 저장했습니다.
추출한 명사를 바탕으로
키워드들이 어떤 주제들로 나눠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언어 모델로 Term Frequency를 사용했습니다.
LDA 모델을 토픽 6개의 개수를 정하여 만들었습니다.
6개의 토픽으로 나누어 각 토픽에 해당하는 단어를 보여줍니다.
1번과 2번의 주제 분류에 있어서 많은 부분이 겹쳐지므로
토픽의 개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num_topics의 숫자를 5개로 조정하여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위의 분포와 달리
각 토픽들의 분포를 봤을 때, 주제 분류에 있어서 겹쳐지는 부분 없이
토픽별로 주제를 잘 나눌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나온 결과를 분석하여
상위 키워드를 기준으로 토픽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2. 결과 분석
티클 앱 리뷰 topic 1
"계좌" "연동"
실제 앱 리뷰 (BAD)
👿 저축을 위해 새로운 계좌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많을 것 같다.
👿 출금 계좌를 여러 개 설정할 수 없는 점이 아쉽다.
👿 다른 카드사에서 사용해도 하나의 계좌에서 돈이 빠지는 점 때문에 카드를 나눠서 쓰는 사람에게는 불편했다.
👿 투자금 이체 과정, 계좌, 카드 등록 과정이 좀 더 간소화되면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저축한 돈을 다시 내 계좌로 가져올 때 다른 어플을 깔아서 출금해야 한다는 점이 불편했다.
티클을 처음 깔고 난 뒤 새로운 계좌를 생성해야 하고,
출금 계좌를 여러 개로 설정할 수 없는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티클 앱 리뷰 topic 2
"저축" "자동" "습관"
실제 앱 리뷰 (GOOD)
😇 카드로 결제하면 거스름돈을 자동적으로 저축하게 해서 저축 습관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
😇 연동된 카드 사용내역이 바로 떠서 저축뿐만 아니라 소비 습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다.
😇 지출은 많지만 저축 습관을 들이기 어려운 분들에게 좋은 어플 같다.
😇 티클 앱을 이용하면 목표한 만큼 저축이 되어서 좋은 것 같다.
티클은 자동으로 저축이 가능하여
저축 습관을 만들어주는 어플임을 많이 언급한 것 같습니다.
티클 앱 리뷰 topic 3
"잔돈" "카드" "투자"
실제 앱 리뷰 (GOOD)
😇 잔돈으로 저축이나 투자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 투자 서비스를 소액부터 시작할 수 있어서 큰 부담 없이 사용하기 좋다.
😇 자동으로 저축해 주고 자동으로 투자가 가능해서 좋다.
😇 내 돈을 전문가가 선별한 투자 상품에 저절로 투자할 수 있는 매력적인 핀테크 어플이다.
😇 자동투자 기능을 통해 P2P 투자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어려움 없이 높은 수익률을 가지고 투자를 통한 이익을 만들 수 있어서 초보자분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투자는 데일리 펀딩 플랫폼과 연계해 자동투자를 해 준다는 점이 편리했다.
실제 앱 리뷰 (BAD)
👿 처음 투자를 접하는 사람의 경우 절차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 투자금 예치할 때 가상 계좌 복사하기 누르면 오류가 뜬다.
티클은 저축과 투자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결한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띄었습니다.
데일리 펀딩 플랫폼과 연계해 자동투자를 해주는 편리함이 있고,
자동 투자 기능을 활용하여 초보자도 이용하기 쉽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투자금 예치 과정의 오류나 절차가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티클 앱 리뷰 topic 4
"잔돈" "계좌" "자동" "연동"
실제 앱 리뷰 (GOOD)
😇 OTP 없이 계좌 연동 및 이체가 가능한 점이 좋았다.
😇 카드와 연동되기 때문에 100원 단위로 저축되는 점이 좋았다.
😇 자주 쓰는 카드와 연동해 매 거래마다 생기는 잔돈을 저축해서 지속적인 저축 습관을 형성할 수 있었다.
😇 자동적으로 연동한 은행에서 돈이 출금되어 저축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
실제 앱 리뷰 (BAD)
👿 카드와 출금계좌를 연동할 때 시간이 오래 걸렸다.
👿 카드사 연동에서 카카오카드는 연동되지 않는 점이 불편했다.
👿 저금통 계좌는 삼성증권계좌만 되고, 기존 삼성증권계좌는 연동되지 않으며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 아쉬웠다.
👿 카드 연동이 자주 끊긴다.
계좌 연동 부분에 있어서
계좌 연동 및 이체가 편리했고, 본인이 자주 쓰는 카드와 연결하여 돈이 출금되기 때문에
저축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는 평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카드 연동이 불안정한 점과
몇몇 카드 사는 연동이 되지 않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낀 것 같습니다.
티클 앱 리뷰 topic 5
"티클" "생각"
실제 앱 리뷰 (GOOD)
😇 자잘한 돈들이 꽤 모였고 생각 없이 살다가 들어가 보면 저축이 되어 있어서 좋다.
😇 카드를 자주 썼지만 그래도 조금은 잔돈이 저축되었다는 생각에 안심되게 만들어준다.
티클 앱을 이용하며 생각 없이 썼던 돈들을 잔돈 저축을 통해
좋은 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고 하는 리뷰였던 것 같습니다.
3. 티클의 향후 개선방향 제시
리뷰의 부정적인 평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계좌 생성 과정의 불편함 개선
티클은 처음 어플을 깔고 저축을 위해 새로운 계좌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들은 다소 복잡하다고 느껴질 수 있고,
이 과정이 귀찮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은 어플 이용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앱 설치 전에 계좌 개설이 필요함을 미리 명시해 주는 방향이나,
계좌 생성 과정을 좀 더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기존 삼성증권계좌는 연동되지 않는 점에 있어서
새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계좌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한다면
또 새로운 계좌를 생성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을 것입니다.
2. 어플 오류의 개선
카드 연동이 자주 끊어져서 다시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또한 투자금 예치 과정에서 가상계좌 복사하기 버튼을 누르면 오류가 뜬다거나,
카드와 출금계좌를 연결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사소한 오류더라도 이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크게 다가올 수 있기에
카드 연동 부분에 있어서 성능 개선,
대기 시간의 최소화를 위한 오류 점검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 연동의 다양화
카드사 연동에 있어서 카카오뱅크 카카오카드와는 연동되지 않았다는 리뷰가 있었습니다.
현재는 이 문제 사항이 개선되었지만,
이런 경우가 있다면
티클의 이용이 무의미해질 수 있을 것 입니다.
카드 연동에서 선택이 불가능 한 카드사들이 없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듭니다.
4. 출금 계좌 설정의 다중 선택 가능화
티클은 출금 계좌 설정에 있어서
다른 계좌를 추가할 수 있지만,
출금계좌를 한 계좌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출금 계좌를 여러 개 선택할 수 있게 한다면
카드를 여러개로 나눠쓰는 사람들은
티클이 빠져나가는 계좌를 여러 개 선택하여
더 유용하게 다가올 것입니다.
다른 카드사에서 사용해도 하나의 계좌에서 돈이 빠지는 점 또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앱 리뷰를 통해
티클 앱 이용자들의 의견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티클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봤습니다.
이상으로 4주차 티클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티클 애널리스트 활동을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𝘼𝙣𝙖𝙡𝙮𝙨𝙞𝙨 > ᴛɪᴄᴋʟ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클] 티클리안 2기 & 티클 애널리스트 수료 (0) | 2021.03.17 |
---|---|
[티클 애널리스트] 네이버 뉴스 기사 분석을 통한 티클과 타 주식 서비스 비교 (0) | 2021.03.17 |
[티클 애널리스트] 티클 앱 첫 이미지로 본 앱 브랜딩 분석 (0) | 2021.03.17 |
[티클 애널리스트] 워드클라우드를 통한 핀테크 앱 '티클' 만의 포지셔닝 전략 분석 (0) | 2021.03.17 |